목록분류 전체보기 (563)
rand(life)
오늘은 SUMPRODUCT함수를 다룹니다. 이 블로그의 다른 글을 다 읽으신 분이라면 SUMPRODUCT함수에 대해서 알고 계실 것입니다만, 오늘은 석차를 낼때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주어진 배열에서 해당 요소를 모두 곱하고 그 곱의 합계를 반환합니다. 구문 SUMPRODUCT(array1,array2,array3, ...) array1, array2, array3, ... 곱한 후 더할 값이 들어 있는 배열을 지정합니다. 2개에서 255개 사이의 배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 인수로 사용하는 배열의 차원은 모두 같아야 합니다. 차원이 같지 않으면 #VALUE! 오류 값이 반환됩니다. 숫자가 아닌 배열 항목은 0으로 처리됩니다. SUMPRODUCT함수는 다음에 이야기하게 될 "배열함수..
오늘은 주어진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세는 COUNTIF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UNTIF(range,criteria) range 숫자나 이름, 배열 또는 숫자가 포함된 참조를 비롯하여 개수를 계산할 하나 이상의 셀입니다. 빈 값과 텍스트 값은 무시됩니다. criteria 개수를 계산하려는 셀을 정의하는 텍스트, 숫자, 식 또는 셀 참조의 형식으로 된 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32, "32", ">32", "사과", B4 등으로 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 와일드카드 문자인 물음표(?)와 별표(*)를 조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음표는 문자 하나에 해당하고, 별표는 일련의 문자에 해당합니다. 실제 물음표나 별표를 찾으려면 문자 앞에 물결표(~)를 입력합니다. 점수가 90점 이상인 학생들의 ..
오늘은 COLUMN함수입니다. 지난번에 잠깐 언급했던 ROW함수와 짝을 이루는 함수입니다. 그때 제대로 설명못했으니, 이번에COLUMN함수를 설명하는 김에 ROW함수를 잠깐 언급하겠습니다. ROW(reference) reference 행 번호를 구할 셀 또는 셀 범위입니다. reference를 생략하면 ROW 함수를 입력한 셀의 참조가 사용됩니다. reference가 셀 범위이고 ROW를 세로 (배열: 여러 가지 결과를 만들거나 행과 열로 구성되는 인수 그룹에 대해 연산이 이루어지는 한 개의 수식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배열 범위는 공통 수식을 공유하며 배열 상수는 한 개의 인수로 사용되는 상수 그룹입니다.)로 입력한 경우에는 참조의 행 번호가 세로 배열로 반환됩니다. reference는 여러 개의..
오늘 배울 함수는 NOT함수입니다. 인수로 주어진 수식이나 참조가 TRUE이면 FALSE를, FALS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NOT(FALSE) = TRUE NOT(1+1=2) = FALSE 재미있는 것은, 숫자를 넣어도 값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숫자 0은 논리값 FALSE로 인식하고, 그외의 숫자들은 TRUE로 인식하므로 NOT(0) = TRUE NOT(1) = FALSE NOT(-4) = FALSE 가 됩니다. 0이 FALSE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은 이전의 포스트에서도 썼습니다만, 엑셀의 다른 함수에서도 다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VLOOKUP함수의 맨 마지막에 FALSE를 쓰면 주어진 값과 똑같은 값을 찾으라는 것이지요. FALSE대신에 0을 넣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즉, VLOOKU..
엑셀의 도움말에 보면 "엑셀의 바로가기 및 기능키"라는 항목이 있다. 거기 보면 많은 단축키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유용하다 싶은 몇 개만 소개한다. 1. 전체 선택 Ctrl * (컨트롤+별표) 현재 선택된 셀에 연결된, 데이타가 있는 셀의 범위를 한번에 선택한다. 지금처럼 데이타가 있을때, B3셀을 선택하고 CTRL * 을 누르면 위와 같이, B3셀과 연결된 직사각형 범위가 선택된다. 대개는 이렇게 군데군데 떨어져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데이타가 있는 전범위를 선택하는 단축키로 유용하다. 2. 범위의 끝까지 한번에 이동 - Ctrl + 화살표 표가 클때, 마지막 셀까지 한번에 이동하려고 할때 유용하다. 이렇게 500행이 넘는 곳에서 작업을 하다가, 갑자기 1행으로 가고 싶다면, 페이지 ..
오늘은 값 또는 참조 유형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9개의 IS 함수를 설명합니다. ISBLANK 값이 빈 셀을 참조하는 경우 ISERR 값이 #N/A를 제외한 오류 값을 참조하는 경우 ISERROR 값이 임의의 오류 값(#N/A, #VALUE!, #REF!, #DIV/0!, #NUM!, #NAME?, #NULL!)을 참조하는 경우 ISLOGICAL 값이 논리값을 참조하는 경우 ISNA 값이 #N/A(사용할 수 없는 값) 오류 값을 참조하는 경우 ISNONTEXT 값이 텍스트가 아닌 항목을 참조하는 경우. 이 함수는 값이 빈 셀을 참조하는 경우에 TRUE를 반환합니다. ISNUMBER 값이 숫자를 참조하는 경우 ISREF 값이 참조를 참조하는 경우 ISTEXT 값이 텍스트를 참조하는 경우 위에서 보는 것처럼..
오늘은 논리함수에 해당하는 AND함수와 OR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ND 함수는 논리곱이라고도 하며, 주어진 인수가 모두 참일때에만 참이 됩니다. 다른 상황에서는 논리곱을 * 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FALSE * TRUE = FALSE FALSE * FALSE = FALSE OR함수는 논리합이라고도 하며, 주어진 인수가 모두 거짓일때에만 거짓이 됩니다. 다른 상황에서는 논리합을 + 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TRUE FALSE + TRUE = TRUE FALSE + FALSE = FALSE 국어 점수 80점 이상, 수학점수 90점 이상, 영어점수 95점 이상인 학생을 찾아..